
노션으로 만든 페이지를 도메인과 연결할 수 있다!
노션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. 특히, 페이지를 만든 후에 바로 웹으로 공개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노션으로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만드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. 노션 페이지의 주소는 다소 복잡한데, 이를 개인 도메인과도 연결해 볼 수 있는 방법도 있다.
현재 https://notion.gunn.kim 은 노션 페이지와 연결되어 있다.
- 즉, 노션에서 해당 페이지를 수정하면, notion.gunn.kim에서 바로 수정된 내용을 볼 수 있다.
사실 처음 시도해보면 어려운데, 차근차근 따라가면 금방 해낼 수 있다.
준비물 : 도메인 주소, 노션 계정(무료계정 가능), cloudflare 계정(무료계정 가능),
cloudflare의 workers를 이용하는 방법인데,
- 간단한 코드를 실행하여 노션의 공개 페이지를 지정한 도메인으로 지속적으로 포워딩해준다.
- 아래 코드를 cloudflare의 Workers에 넣으면 된다.
마치 aws의 람다(lambda)와 비슷한 서버리스 컴퓨팅이나 Gitlab의 CI/CD와 유사한 기반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보인다.
- (이후) 워커스를 이용하니 웰컴 메일이 왔는데, 서버리스 앱이라고 명시적으로 해놓았다.
- 점점 더 서버리스관련 서비스들이 더 많이 눈에 띈다.
암튼, 위 참고 사이트에서 아주 상세하게 설명을 해주고 있어서, 쉽게 노션과 도메인을 연결할 수 있었다.
앞으로 더 만들고 싶은 것은,
- https://gunn.kim 에 https://notion.gunn.kim 의 메인 페이지에 올라온 새로운 페이지들 목록을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해 보고자 한다.
- 그리고, 일부 능력자들이 구현해 놓을 것처럼, 노션에 글을 쓰면 블로그에 바로 포스팅되는 기능도 구현해 보고자 한다.
- https://blog.kowalczyk.info/article/88aee8f43620471aa9dbcad28368174c/how-i-reverse-engineered-notion-api.html
- 위 방법은 노션의 API를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해서 비공식 API 연결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짐작된다.(자세히는 아직 모르겠다.)
- 노션에서 공식 API를 오픈할 예정이라, 향후에는 공식 API를 이용한 다양한 연계 어플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. (personal pro 이상 플랜에서만 지원)
|
|
결과적으로,
- gunn.kim 의 about 페이지에도 설명을 해놓았지만, 외장 두뇌 궁극적 버전의 prototype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.